본문 바로가기
투자

TQQQ vs QQQ(레버리지 ETF 투자 전략)

by 임국장 2022. 11. 27.

21년 12월에 나스닥을 포함한 미국시장이 고점을 찍은 후, 꽤나 길게 하락장이 지속되고 있다.
20년 중후반의 주가까지 내려온듯 싶다.
연이어 저점을 계속해서 찍는 가운데, 반등을 노리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있다.
가격이 많이 떨어져서 나 역시도 매수를 망설이고 있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도 반등의 수혜를 가장 많이 누릴수 있는 레버리지ETF인
TQQQ를 알아보려고 한다.

 

 

 

TQQQ의 매력

TQQQ는 QQQ의 3배수 레버리지ETF이다.
TQQQ가 상장된 2010년 2월 11일의 시가는 0.41에서 91.68까지 올랐었다.(2021년 11월 22일)
상장될때 사서 고점까지 가지고 있었다면 223배에 달하는 수익률을 냈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상품이다.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했더라도 12년만에 약 15배 이상의 수익률을 안겨주었다.

그런데 최근들어 급격하게 주가가 빠지고 있는데,
오늘 기준으로 21.84이다. 전고점대비 무려 76%나 빠진것이다.
레버리지 ETF가 위험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무려 1/4토막이나 날정도 일줄은 몰랐다.

 

 

 

 

TQQQ의 위험성

1. 어마어마한 손실률

출처 : blog.naver.com/kmjnkmj

위 그래프는 TQQQ가 닷컴버블과 리먼을 겪었다고 가정하고 만든 그래프이다.
2000년도 닷컴버블 때 꼭대기를 찍고 내려오는 폭이 보이는가.
이 당시 TQQQ가 있었다면 -99%에 달하는 수익률.
즉, 주가가 0에 수렴하는 모습을 보였을 것이다.
또한, 20년이 지나서야 전고점을 회복할수 있었을 것이다.
수익률 -20~30%는 기본이고, 리먼이나 코로나와 같은 이벤트가 있을경우에는 -70%이하로도 내려갈 수 있다.

 

TQQQ 백테스팅 결과, 닷컴버블 후 최대하락폭은 -99.75%(2002년 10월 저점)

리먼은 -95.21%(2009년 3월 저점)이며, 코로나는 -94.38%(2020년 3월 저점)였다.

 

참고로 나스닥지수 기준으로 하면 닷컴은 -77.93%, 리먼은 -55.1%, 코로나는 -29.67%이다.

 


2. 상폐가능성

위에서 말한 어마어마한 손실률로 인해 상장폐지 당하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이 있다.

ETF는 기초자산 혹은 NAV가 0원일때, 혹은 운용증권사가 파산할때 상장폐지된다.
즉, TQQQ의 기초자산인 나스닥이 0원이 될 경우 상장폐지된다.

1987년 블랙프라이데이 때 다우지수가 하루에 23% 하락한 적이 있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서킷브레이커 제도가 도입되었는데,
3단계 기준 전일대비 20%이상 하락하면 당일 주식거래가 종료된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지수의 일별 수익률의 n배로 움직인다.
그렇기 때문에 0원이 되기 위해서는 하루에 기초지수가 33% 하락하지 않는이상 상폐는 불가한데,(33% x 3배 = 0에 수렴)
이 제도 덕분에 상폐가 될 수 없는 구조이다.
참고로 코로나로 하루에 10%까지 하락하기도 했었다.

TQQQ를 운용하는 Proshares는 약 300억달러의 자산을 운용한다.
Proshares는 전세계 10위안에 드는 ETF 운용사이다. 쉽게 파산하지 않을 것이다.

아래 글에 정리가 잘되어있어서 일부를 인용했다.
TQQQ 주가와 상폐(상장폐지) 청산 이슈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TQQQ 주가와 상폐(상장폐지) 청산 이슈 (레버리지 ETF 원리)

Contents 1. TQQQ 주가 2. 레버리지 ETF 원리 (상장 폐지 이슈) 3. 투자 방법 및 전망 TQQQ와 ...

blog.naver.com


3. 횡보해도 손해

 


기초지수가 동일한 가격으로 왔다갔다 할 경우, 레버리지 상품은 하락한다.

지수가 100에서 110이 될때, 레버리지는 100에서 120이 된다.

반대로 지수가 110에서 100이 될때, 레버리지는 120에서 98이 된다.(지수 수익률 -9.1%의 2배)

이런 현상을 변동성 끌림현상이라고 하는데,

비슷한 주가에서 오르고 내림이 반복되는 횡보장에서 레버리지는 하락할 수 밖에 없다.

 

 

 

 

TQQQ 매매전략

이러한 TQQQ의 위험성을 이해하면서 수익률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다음의 3가지를 반드시 염두에 두자.


1. 자산배분

코로나 하락기의 최대 하락률은 31.94%

즉, MDD(Maximum Draw Down) = 31.94% 이다.

 

투자기준을 세울 때 이 MDD라는 개념을 잘 이용해야한다.

나는 얼마만큼의 하락폭을 견딜 수 있는가.

투자는 심리에 영향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99%까지 떨어질수도 있는 TQQQ의 특성상 하락을 이겨내는 전략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99%까지 떨어질 때도 손실을 감내할 수 있는 멘탈을 키워내야 하는걸까?
강철멘탈을 만들지 않고도 MDD를 견딜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총 자산의 n%만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총자산 1억을 가지고 있는데, 1천만원에 매수한 TQQQ 평가금액이 1백만원으로 떨어져도
전체 자산에서는 9%가 떨어진것에 불과하므로 충분히 감당 가능하다.

물론 9%에도 멘탈이 깨지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그 비중을 더욱 낮추면 된다.


옛날만큼 경제에 충격을 주는 일은 앞으로 드물겠지만,

TQQQ가 -99.9%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모두 잃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접근하자.
포트폴리오에서 10%만 가져간다면 -10%만큼의 리스크를,
30%를 가져간다면 -30%만큼의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는지를 잘 생각해보아야 한다.

자신만의 감당가능한 손실율을 설정하고 접근해보자.

 


2. 적립식 매수

2000년 3월 10일(닷컴버블) 전고점에서 투자를 시작했을 때 2021년 5월의 수익률(출처 : 유튜브 몸자키닥터)

TQQQ가 닷컴버블을 겪었다면 어땠을까.
여기서 주목해야할것은 손실을 겪는 기간이다.
QQQ가 그 전고점을 15년이 걸려서 회복은 했지만,
TQQQ를 그때 투자했다면 1/3토막이 난채로 현재까지도 회복을 못했을 것이다.
과연 누가 이정도의 상황을 견뎌낼수 있을까.

손실기간이 길긴 했으나, 역사적으로는 닷컴버블같은 경제위기에서 시작해도
결국은 현재 30배에 달하는 수익률을 가져다줬다는게 사실이다.
거치식으로 했다면 15년동안 원금회복을 못했으나, 매달 적립식으로 매수했다면 4~5년정도면 회복이 가능했다.
하락장에서 평단을 계속해서 낮춤으로써 손실률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배수ETF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적립식은 필수인 것이다.

 

 

3. 단기투자

실제로는 이보다 수익률이 떨어질 것이다.(저점과 고점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

TQQQ는 백테스팅하였고, QQQ는 실제 주가이다. 주요 지점을 기준으로 수익률을 비교해보았다.

 

레버리지ETF는 주식시장에 상승기가 오고 다음 하락기가 오기 직전까지가 가장 연수익률이 좋다.

즉, 투자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연수익률이 크게 떨어진다. (기초지수ETF는 기간이 늘어남과 관계없이 연수익률이 안정적)

다르게 말하면 횡보함에 따라 손실을 보는 구간이 생기고 있다는 것이다.

레버리지 특성상 횡보장이 오면 손실을 보기 때문에, 최대한 빨리 파는것이 기간대비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다.

(또한, TQQQ의 운용수수료는 0.98%이다. 그냥 가지고만 있어도 연 1%정도가 날아간다는 뜻이다.)

 

추가적인 수익을 내기 위해 매도타이밍을 미루다 기초지수에도 못미치는 수익이 된다면 투자심리가 흔들리기 쉽다.

그리고, 거기다가 개인적으로 돈이 드는 대소사가 생길 때 하락장과 맞물린다면 굉장히 골치 아플 수 있다.

 

 

 

나의 매매전략

위에서 말한 포인트들로 나의 성향에 맞게 전략을 세워보았다.

 

1. 포트폴리오의 10%이내에서 투자한다.

자산이 소액이라면 비중에 매달리지 말고, 잃어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금액으로 설정.

 

2. 목표 물량(자산의 10%)을 설정한 뒤 자금 내에서 하락시에만 분할매수한다. 상승 시 추격매수 하지않는다.

나스닥 상승장 혹은 횡보장에서는 QQQ를 꾸준히 매수하다가,

하락장이 시작되고 나스닥 고점대비 일정수준 빠졌다면 그때부터 레버리지 투자를 고려한다.

 

닷컴이나 리먼, 코로나 때 TQQQ는 약 99%에 육박하는 손실율을 보여줬다.

이런 일들은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편이지만,

확실하게 떨어진 구간에서 매수한다면 더 떨어질 리스크를 막을 수 있고, 확실하게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3. +100%의 수익(원금 2배)을 내면 (분할)매도
MTS 가격 알림설정 후 반드시 매도하는 등 기계적으로 매도할것

 

 

 


나스닥100 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TQQQ는 닷컴버블이나 리먼브라더스와 같이

큰 풍파를 겪은 히스토리가 없기 때문에, 인덱스펀드처럼 무지성으로 매수하기만 해서는 안된다.

자산배분, 적립식, 단기투자 전략을 머리 속에 넣고 반드시 기계처럼 실행해야 한다.

단순 지수투자에 더해 시장을 초과하는 수익률을 조금더 내겠다는 생각으로 접근하자.

완전한 하락장에서만 진입하고 일정 수익을 봤다면 지체없이 매도하자.

 

미국시장의 성장가능성은 이미 입증되었다.

좋은 가격에 레버리지를 시작할 수 있는 좋은 시기인것 같다. 

평소에 레버리지는 손대보지 못했으나, 이번 하락장에서 배울수 있는 것을 젊을때 최대한 경험해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