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투자를 할 때 기준금리와 시장금리는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지표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금리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기준금리
우선 인베스팅닷컴에 들어가자.
주식시장 시세와 금융뉴스 - Investing.com
인베스팅닷컴(Investing.com)은 실시간 시세, 포트폴리오, 챠트, 최신 금융 뉴스, 실시간 주식시장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에 담은 종목 관련 뉴스와 글로벌 경
kr.investing.com
인베스팅 닷컴은 투자자라면 꼭 한번쯤 사용해봤을 사이트이다.
금리뿐만 아니라 경제지표 발표 일정, 환율 등 다양한 정보가 있으니 잘 활용하기 바란다.
들어가면 위쪽 메뉴 끝에 더보기가 있다. 들어가서 중앙은행에 들어가자.
들어가면 이런식으로 각국 중앙은행의 정보와 기준금리를 볼 수 있다.
기본세팅은 한국은행으로 되어있으나 금리 그래프 위에 FED를 클릭하면 연준의 기준금리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보면 FED 금리 모니터링 도구가 있는데,
다음 회의때 연준이 금리를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낸 것이다.
제목을 눌러서 확인해 보면, 2024년까지의 기대치를 확인할 수 있다.
2. 시장금리
다음으로 국채의 시장금리을 알아보자.
국채 채권수익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보다 시장금리를 확인해야 한다.
위쪽 메뉴 가장 왼쪽의 시장-채권-세계 정부 채권에 들어간다.
이어서 왼쪽 탭에서 미국을 누르고, 국가목록 : 미국을 선택한 후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게 된다.
현재/ 한달전/ 일년전의 미 국채 그래프가 나온다.
예를 들어 10년물을 보면, 현재, 한달전, 일년전의 국채금리 수익률이 3.547, 3.4151, 2.979로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 밑으로는 만기별로 정확한 수익률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종목을 선택하면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3. 장단기 금리차
장단기 금리차는 경제위기가 올때마다 반드시 나타났던 현상으로,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FRED에서 확인해보자.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10 sources.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
fred.stlouisfed.org
FRED는 미국연방준비은행에서 제공하는 경제통계 사이트이다. 찾고자하는 거의 모든 경제지표들이 있으니 참고하자.
좋은자료들이 많지만 솔직히 FRED를 들어가보면 온통 영어이고
카테고리를 따라서 들어가야 하므로 여간해선 찾기가 힘들다.
경제지표에 대한 어느정도 지식도 있어야 하고, 영어로 된 경제용어도 알아야 한다.
그래서 그냥 사이트를 저장해놓고 쓰자. 아니면, 구글에서 "FRED 10y-2y"라고 검색해도 바로 나온다.
https://fred.stlouisfed.org/series/T10Y2YM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Release: Interest Rate Spreads Units: Percent, Not Seasonally Adjusted Frequency: Monthly Notes: Series is calculated as the spread between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BC_10YEARM) and 2-Year Treasur
fred.stlouisfed.org
위 사이트를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나온다.
회색음영은 경기침체를 겪었던 구간이다. 장단기 금리가 마이너스로 돌아선 후 경기침체가 나온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프 아래 드래그해서 기간을 설정할 수 있는게 있다. 1976년부터 자료가 있으니 입맛에 맞게 활용하면 된다.
현재 기준금리와 시장금리, 장단기금리차를 확인해보았다.
채권투자를 하기 좋은 시기인 것 같다. 지표들을 잘 보고 판단하기 바란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주식 ETF 투자방법(INDA, INDY, KODEX 인도Nifty50) (0) | 2023.06.26 |
---|---|
인도에 투자하는건 어떨까(인도의 성장가능성, 투자 유의점) (2) | 2023.05.15 |
미국 채권 ETF에 투자해보자(채권으로 매매차익 노리기) (0) | 2023.03.14 |
S&P500에 30년 투자할 때 수익률?(복리, 스노우볼 효과) (0) | 2023.02.19 |
채권, 어떻게 투자해야할까(개별채권 vs 채권ETF) (0) | 2023.02.05 |